nullvuild

Bloger @nullvuild

Created Date '2025/07/05 오전 08:59

Modified Date '2025/08/03 오후 10:04

#요구사항분류 #기능비기능 #제약조건 #소프트웨어라이브러리 #스코프전략

기능 요구사항, 비기능 요구사항, 제약사항의 정의 및 구분

Pasted Image

  • 기능 요구사항이란 시스템(또는 소프트웨어)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기능, 동작, 처리 절차 등을 의미합니다.
  • 비기능 요구사항은 성능, 안정성, 보안, 확장성 등 기능 자체 이외에 시스템이 만족해야 하는 품질 속성이나 조건을 뜻합니다.
  • 제약사항은 법적, 정책적, 물리적, 기술적 한계 등 개발·운영 시 반드시 지켜야 하는 한계나 조건을 의미합니다.


도메인/비즈니스에 따른 분류 예시


분류 기준은 프로젝트의 도메인과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도메인에서는 주행, 제동, 센서 인식 등 차량 본연의 핵심 동작을 기능 요구사항으로 간주합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판매하거나 고객도 자체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B2B 환경이라면 고객이 우리 라이브러리를 구매해 적용할 수 있도록 API 제공, 연동 가이드, 확장성 보장 등 “고객 활용성”을 기능 요구사항으로 보는 전략도 가능합니다.


이처럼, 기능/비기능의 구분은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 비즈니스 목적과 Scope에 따라 유연하게 판단하는 것이 실무적으로 중요합니다.



신규/리버스 상황별 분류 실무 팁

  • 신규 개발에서는
    • 고객 요구, 시스템 설계서, 인터페이스 정의 등 사전에 확보 가능한 정보를 토대로 기능/비기능/제약사항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리버스 엔지니어링 상황에서는
    • 이미 존재하는 코드, HW, 운영 데이터, 사용자 피드백 등 실제 구현·동작 중심으로 “관찰되는 현상”과 “추정되는 품질 조건”, “기존 한계”를 분류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실무 Tip.

명확하게 구분이 어려운 경우 우선 ‘주요 기능 동작’과 ‘품질 속성/제약’을 구분해 나머지는 Scope 설정 후, 고객/내부와 논의해 결정하는 방식이 효율적입니다.
애매한 항목은 범위 설정을 통해 관리 범위를 확정하는 것이 실질적 리스크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분류를 위한 전략


모든 요구를 처음부터 완벽히 분류하기 어렵다면 “우리가 직접 관리·개발·테스트할 수 있는 것”을 우선 기능 요구사항으로 삼고, 나머지는 비기능/제약 또는 외부 조건으로 분리합니다.


고객 활용성, 제품 확장성 등 비즈니스 방향에 따라 기능 요구사항의 범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Scope 설정이 분류 전략의 기준점이 되므로 프로젝트 초기에 Scope를 명확히 잡는 것이 핵심입니다.

Nullvuild

Nullvuild

@nullvuild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