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엔 그냥 개발자가 써놓은 문장이라고 넘겼습니다.
“이 코드는 레거시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일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레거시 기반? 라이브러리 사용?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지?
개발자가 아니라면 이 한 줄도 충분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제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레거시(Legacy)
는 원래 유산이라는 뜻입니다.
IT에서는 보통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사용 중인 코드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혹은 모든 것을 자체 개발한 부분에 대해서 쓰이기도 합니다. 🙂
즉,
“레거시 기반으로 개발되었다”는 말은 이 코드가 기존 시스템 위에 추가되었거나, 기존 방식에 맞춰 작성되었다는 뜻입니다.
라이브러리(library)
는 개발자가 자주 쓰는 기능을 미리 만들어 놓은 코드 묶음입니다.
일종의 도구 세트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걸 매번 새로 만들기보다는, 이미 잘 만들어진 라이브러리를 가져와서 필요한 부분만 가져다 씁니다.
그러니 “일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했다”는 말은, 특정 기능은 외부에서 가져온 도구로 처리했다는 의미입니다.
"이 코드는 레거시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일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했습니다."
이 문장은 개발자 입장에서 이렇게 해석됩니다:
즉, 완전히 새롭지는 않지만, 무언가는 개선하거나 확장했다는 말로 이해하면 됩니다.
개발자의 문장은 마치 간결한 암호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안에는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어디를 보면 좋은지” 같은 힌트가 담겨 있습니다.
이해되지 않는다면 주저 말고 물어보세요.
의외로 한 줄 설명에 많은 이야기가 숨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nullvuild